통증 모니터링과 진단은 동물 복지를 개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 파일럿 연구는 비디오 녹화를 활용하여 관찰 시간이 통증 평가와 거세된 돼지 새끼의 관찰자 간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습니다. 총 10마리의 돼지새끼가 실험 대상이었으며, 5마리는 대조군(거세 시뮬레이션, 고통 없음)에서, 나머지 5마리는 수술적 거세(통증 상태)를 겪은 실험군에서 비디오 녹화되었습니다. 비디오들은 무작위로 배정되고, 경험이 풍부한 관찰자가 Unesp-Botucatu 돼지 복합 급성 통증 척도(UPAPS)를 사용하여 평가했습니다. 동일한 10개의 비디오는 실험 시작, 중간 지점, 실험 종료 시점에서 각각 네 차례의 간격으로 관찰되었습니다. 네 차례 간격 동안, 관찰자는 다른 연구의 360개의 추가 비디오를 시청하여 긴 관찰 시간이 되는 과정을 시뮬레이션했습니다. 실험군에서는 UPAPS 총 점수와 대부분의 UPAPS 항목에 대해 사후 테스트에서 차이가 없었습니다. 반면, 대조군에서는 중간 지점에서 UPAPS 총 점수가 높았으며, UPAPS 항목 간에는 차이가 없었습니다. 클래스 내 상관 계수(ICC)는 두 그룹 모두 평가 모든 시점에서 UPAPS 총 점수에 대해 '매우 우수한' 관찰자 간 신뢰도를 시사했습니다. 비디오 녹화 통증 평가는 돼지새끼의 통증을 평가하는데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며, 관찰 시간이 통증 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최소한으로 UPAPS 총 점수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대부분의 항목 간 차이도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동물 복지 관점에서 비디오 녹화 통증 평가는 비침습적 방법으로 통증 연구에 추가적인 자산이 될 수 있습니다.
Key Points
- 통증 상태의 돼지새끼와 대조군 모두에서 UPAPS 총 점수의 평가 시점 간 차이가 거의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 긴 관찰 시간을 시뮬레이션한 환경에서도 비디오 녹화 통증 평가 방법은 일관성을 유지해 '매우 우수한' 관찰자 간 신뢰도를 유지했습니다.
- 비디오 녹화 통증 평가는 비침습적이며 신뢰성 있는 돼지새끼 통증 평가 방법으로, 동물 복지 연구에 유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