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ource detail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2 억제제인 카나글리플로진, 좌심부전에서 폐 섬유화를 감소시킨다

2025-07-04 00:02 | 추천 : 0 | 댓글 : 0
배경 좌심부전은 폐고혈압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이로 인해 이환율과 사망률이 증가합니다. 우리는 만성 심근 허혈을 가진 돼지 모델에서 울혈성 심부전의 일차 치료제인 당뇨병 치료제 Sodium-glucose Cotransporter-2 억제제인 카나글리플로진의 폐 섬유화에 대한 효과를 조사합니다. 방법론 열여섯 마리의 요크셔 돼지를 정상 식이 대조군(NDC) 8마리와 카나글리플로진 군(CAN) 8마리로 나누어 왼쪽 흉부 절개 및 왼쪽 회선 동맥에 아메로이드 축소기 배치를 시행했습니다. 7주 후, 돼지들은 수확 절차를 거쳤습니다. 수확 중, 왼쪽 심실 수축력은 직접적인 좌심실 압력-부피 루프를 사용하여 정량화되었습니다. 단백질 발현은 면역 블러팅으로 정량화되었고, 메이슨 트리크롬 염색을 이용하여 혈관 주변의 콜라겐 침착을 평가했습니다. 결과 좌심실 박출 계수의 분석에서 CAN과 NDC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Western blot 분석에서 CAN 돼지에서 TGFβ 신호 경로의 증가와 함께 자유 TGFβ 및 TGFβ 단량체 감소가 나타났습니다(p < 0.01). TGFβ의 하위 매개체들도 NDC에서 증가하였으며 phospho-SMAD2/3 활동은 증가했습니다(p = 0.005). 돼지 폐 조직의 메이슨 트리크롬 분석에서 CAN 돼지의 혈관 주변 콜라겐 침착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p = 0.086). 결론 카나글리플로진은 좌심실 부전으로 인한 폐고혈압에 관련된 만성 섬유화 변화를 개선합니다. 조직학적 분석에서 유의미한 경향은 있었지만, 이는 우리의 모델 지속 기간에 의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Western blot 분석은 CAN의 TGFβ 신호 경로 조절이 2차 폐고혈압 관리에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Key Points
  • 카나글리플로진은 좌심부전으로 인한 폐고혈압 관련 만성 섬유화 변화를 개선한다는 결론을 도출합니다.
  • TGFβ 신호 경로의 조절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는 카나글리플로진이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조직학적 분석에서 유의미한 경향은 있었지만, 연구 모델의 제한된 지속 기간이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